SSE란? 실시간 이벤트 전달 프로토콜 (Server-Sent Events)

SSE(Server-Sent Events)란 무엇인가 SSE는 Server-Sent Events의 약자로, 서버가 클라이언트로 실시간 데이터를 단방향으로 푸시(push)할 수 있게 해주는 웹 기술임 클라이언트가 먼저 요청을 보내고 서버는 그 연결을 끊지 않은 채, 새로운 데이터가 생길 때마다 지속적으로 응답을 보내는 방식임 주로 실시간 알림, 주식 시세 업데이트, 라이브 피드 등 서버에서 클라이언트로 일방적인 데이터 전송이 필요한 경우에 매우 유용함 SSE vs 웹소켓, 그리고 한계 SSE는 실시간 이벤트 전송에 유용하지만 만능은 아님. 웹소켓과 비교했을 때 명확한 장단점이 존재함 ...

October 25, 2025

NestJS Swagger 가이드 — ApiProperty와 PickType/OmitType/PartialType 사용법

개요 @nestjs/swagger는 NestJS와 Swagger(OpenAPI) 스펙을 연결해 API 문서를 자동 생성하는 모듈임 DTO(Data Transfer Object) 클래스에 메타데이터를 부여해 타입과 예시, 설명 등을 Swagger UI에 노출하는 흐름으로 작동함 핵심 도구는 @ApiProperty와 DTO 유틸리티 타입들(PickType, OmitType, PartialType)임 ApiProperty 개념과 사용 @ApiProperty는 DTO 속성 단위로 문서화 메타데이터를 부여하는 데코레이터임 타입, 설명, 예시, 필수 여부 등을 정의해 Swagger UI에 명확한 스키마 제공 코드와 문서가 한 소스에서 유지되어 일관성 확보에 유리함 간단 사용 예시 class CreateUserDto { @ApiProperty({ description: "사용자 이름", example: "John Doe" }) name: string; } 이 속성 정의만으로 Swagger 스키마에 name 필드의 설명과 예시가 노출됨 ...

October 30, 2025

NestJS Guard로 요청 보호하기 — CanActivate, UseGuards, Bearer 인증 예시

개요 가드 Guard를 이용해 NestJS 애플리케이션을 위험한 요청으로부터 차단하는 방법 정리 컨트롤러에 도달하기 전 단계에서 인증과 접근 제어 수행하는 패턴 중심으로 설명 가드란 NestJS에서 가드는 애플리케이션에 들어오는 요청을 컨트롤러로 보내기 전에 통과 여부를 결정하는 구성 요소 미들웨어와 유사한 역할이지만 라우트 핸들러 실행 여부를 명시적으로 결정하는 책임에 초점 요청 수명주기에서 미들웨어 다음, 컨트롤러 이전에 실행됨 canActivate가 true 또는 Promise을 반환하면 다음 단계로 진행, false면 기본적으로 403 Forbidden 응답 발생 ...

October 17, 20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