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록체인 채굴 개념과 동작 원리 PoW 보상 구조 이더리움 전환 사례
개요 채굴은 트랜잭션을 묶어 블록을 만들고 블록체인에 추가하는 행위이자, 네트워크를 공격으로부터 방어하는 핵심 보안 메커니즘임 역사적으로 비트코인과 이더리움은 작업증명 PoW 기반 채굴에 의존해 합의를 유지했음 이더리움은 2022년 9월 The Merge로 지분증명 PoS로 전환하여 블록 생성에 소모되는 에너지를 크게 줄였고, 지금은 채굴 대신 검증자 스테이킹이 사용됨 아래 내용은 채굴이 사용되던 시기의 개념과 동작 원리를 정리한 것으로, PoW 계열 네트워크나 역사적 맥락을 이해하는 데 목적이 있음 핵심 개념과 정의 블록체인 원장 네트워크 참여자가 공유하는 불변 기록 장부 트랜잭션 계정 상태를 변화시키는 요청 또는 메시지 채굴자 PoW 네트워크에서 블록을 제안하고 검증하는 주체 작업증명 PoW 특정 해시 조건을 만족하는 값을 찾는 계산을 통해 블록의 정당성을 증명하는 합의 규칙 난이도 difficulty 해시 조건의 엄격함을 조절하는 파라미터, 블록 생성 간격을 목표치로 수렴시키는 역할 넌스 nonce 해시 목표를 만족하기 위해 반복적으로 변경하는 값 메모리풀 mempool 블록에 포함되기 전 대기 중인 트랜잭션 집합 블록 보상 block reward 채굴자가 새 블록을 유효하게 제안했을 때 받는 기본 보상과 수수료 총합 왜 채굴이 필요한가 탈중앙 시스템에서는 트랜잭션의 순서에 모두가 합의해야 이중지불을 막을 수 있음 예시 Alice가 Bob에게 1 단위를 보내고 Bob이 그 1 단위를 Charlie에게 보낼 때, 순서가 뒤섞이면 Bob이 실제 보유하지 않은 금액을 전송하려 시도하는 문제가 발생함 채굴자는 유효한 트랜잭션을 모아 순서 있게 블록에 넣고, 작업증명으로 해당 블록이 정당함을 증명함 PoW의 설계는 두 가지 속성을 가짐 생성은 어렵지만 검증은 쉬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