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de.js 환경에서 디버깅하기

개요 Node.js에서 디버깅은 문제를 재현 가능한 최소 단위로 축소하고, 실행 흐름과 상태를 관찰해 원인을 단정하는 과정임. 이 글은 디버깅 기본 원리와 함께 Node.js 환경에서 자주 쓰는 세 가지 방법인 Chrome DevTools, node-inspect CLI, VS Code 디버거 사용법을 정리함 문제를 명확히 하기 작성한 코드의 기대 동작 정의 실제 관측된 동작과의 차이 정리 실패 조건과 재현 절차 고정 문제 정의가 모호하면 디버깅 범위가 불필요하게 커짐. 입력, 환경 변수, 의존성 버전, 네트워크 상태 등 외부 요인도 고정하는 편이 좋음 ...

October 23, 2025

Node.js v8-inspector 디버깅 가이드 — --inspect와 node-inspect 사용법

개요 Node.js 디버깅 환경은 V8 인스펙터 도입 이후 일관된 방식으로 수렴했음 Node.js v6부터 V8 네이티브 인스펙터가 들어왔고 v8.0.0에서 v8-inspector를 본격 지원하면서 기존 –debug는 폐기, –inspect로 통일됨 CLI 디버거 node-inspect가 코어에 통합되어 브라우저 개발자도구와 커맨드라인 중 선택 가능함 이 글은 Node.js 8 이상에서 동작하는 v8-inspector 기반 디버깅 플로우를 요약함 핵심 개념 v8-inspector 프로토콜 V8이 노출하는 디버깅 프로토콜 Node 프로세스가 WebSocket 엔드포인트를 열고 디버거가 여기에 연결하는 구조 –inspect vs –inspect-brk –inspect는 바로 실행하면서 디버거 접속 대기 –inspect-brk는 첫 줄에서 일시정지 후 시작, 초기화 로직부터 추적할 때 유용 포트 기본 포트 9229 사용 –inspect=PORT, –inspect-brk=PORT 형태로 변경 가능 프론트엔드 Chromium 기반 개발자도구로 연결 가능 chrome://inspect 에서 Node 대상 탐색 및 연결 node-inspect Node 내장 CLI 디버거 동일한 인스펙터 포트로 접속하여 터미널에서 스텝 실행과 REPL 수행 크롬 개발자도구로 디버깅 Express 같은 서버 앱을 예시로 실행 파일이 bin/www라고 가정 ...

October 19, 20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