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ySQL InnoDB 버퍼 풀 개념과 동작 원리, 크기 설정 가이드
개요 InnoDB 버퍼 풀은 데이터와 인덱스 페이지를 메모리에 캐싱하는 영역임 디스크 I/O를 획기적으로 줄여 지연 시간을 낮추는 게 목적임 InnoDB 스토리지 엔진(트랜잭션, MVCC, 행 단위 락 지원) 성능의 심장부라 할 수 있음 쉽게 말해, 자주 쓰는 데이터와 인덱스를 디스크 대신 메모리에 올려두고 처리하는 구조임 버퍼 풀 구성 요소 버퍼 풀에는 주로 이런 페이지(기본 16KB)가 올라옴 데이터 페이지: 실제 테이블 로우(Row)가 저장된 페이지 인덱스 페이지: B-Tree 인덱스 노드 페이지 (PK 및 세컨더리 인덱스 포함) 기타 관리 페이지: UNDO 페이지, 트랜잭션/MVCC 관리에 필요한 메타데이터 등 핵심 개념 페이지 캐싱 InnoDB는 디스크 데이터를 페이지 단위로 다룸 클라이언트가 특정 로우를 읽고 싶어 하면, 그 로우가 속한 페이지 전체를 버퍼 풀로 가져옴 이후 같은 페이지에 있는 다른 로우를 읽을 때는 디스크를 다시 보지 않고 버퍼 풀(메모리)에서 바로 조회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