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스토디얼 vs 논커스토디얼 월렛 비교

개요 프라이빗키 관리 방식에 따라 암호화폐 월렛은 커스토디얼(custodial) 과 논커스토디얼(noncustodial) 로 구분됨 각 방식의 차이와 선택 기준, 보안·운영 리스크와 대응 방안을 초보자도 이해할 수 있게 정리하면서 실무자가 바로 적용할 수 있는 체크리스트까지 제시함 핵심 개념 커스토디얼 월렛 제3자 서비스가 사용자의 프라이빗키를 보관하고 서명을 대행하는 구조 로그인·출금 등은 서비스 인증 절차를 거쳐 처리됨 논커스토디얼 월렛 사용자가 프라이빗키를 직접 보유·관리하는 구조 브라우저 확장 지갑·모바일 앱 지갑·하드웨어 지갑이 대표적 사례임 핵심 차이 한 줄 정리 키의 소유·통제 주체가 제3자인가 사용자 본인인가의 차이 ...

September 23, 2025

블록체인이란? 블록체인 개념 총정리

개요 블록체인은 중앙 기관 없이 참여자들이 거래를 기록·검증·공유하는 분산 원장 기술임 이 글은 블록체인을 초보자 친화적으로 설명하고, 실무 체크리스트까지 정리함 큰 그림: 시스템 구성 노드(Node): 블록체인 소프트웨어 실행 주체 풀노드: 모든 블록·트랜잭션 검증·저장 라이트 클라이언트: 헤더·머클 증명 기반 최소 검증 (참고) 아카이브 노드: 오래된 상태 포함 전체 상태 유지(필수 아님) 블록(Block): 트랜잭션 묶음 + 메타데이터(블록헤더). 블록들이 선형 체인으로 연결됨 합의(Consensus): 어떤 블록이 정식 이력인지 네트워크가 공동으로 결정하는 규칙 PoW: 작업증명(연산 경쟁) PoS: 지분증명(검증자·보증금 기반) 해시(Hash)와 위·변조 방지 해시 함수(SHA-256, Keccak-256 등): 입력을 고정 길이로 압축하는 일방향 함수임 ...

September 22, 2025

이더리움 PoS(Proof of Stake) 소개

개요 이 문서는 이더리움의 PoS 합의 구조와 구성 요소를 정리함 개념 정의에 그치지 않고 운영 시 주의점, 보상·출금 흐름, 짧은 체인 재구성(Reorg) 원인과 완화책까지 다룸 개념과 배경 PoS는 PoW의 에너지 경쟁을 대체해 예치된 지분을 바탕으로 검증자를 선정하는 합의 메커니즘임 이더리움은 2022년 9월 더 머지 이후 PoS로 전환했고 전력 소비를 크게 줄이며 검증자 기반 보안 모델로 이행함 주요 속성 요약 에너지 소비 대폭 축소 스테이킹한 ETH 규모에 비례해 역할 참여 기회가 부여됨 위반 시 슬래싱과 페널티로 예치금이 감소함 계층 분리와 Beacon Chain의 역할 이더리움은 합의 계층(Beacon Chain) 과 실행 계층(Execution Layer) 를 분리해 설계함 ...

September 20, 2025

NFT 핵심 용어 정리

개요 NFT 커뮤니티 초입에서 마주치는 용어 장벽을 낮추기 위해 리빌, 에어드롭, 화이트리스트, 마켓플레이스를 실무 관점으로 정리함 핵심은 개념 이해를 넘어 운영 체크리스트, 보안 리스크, 가격 형성 메커니즘까지 파악해 프로젝트 참여와 거래 판단에 바로 쓰도록 하는 것임 공통 전제와 기본 개념 NFT 표준 주로 ERC‑721과 ERC‑1155를 사용함 721은 1토큰 1소유 형태에 적합, 1155는 대량 발행·세미펀지블에 유리함 메타데이터와 저장소 토큰 URI가 가리키는 메타데이터는 IPFS나 Arweave 등 영속 스토리지 사용 권장 중앙화 서버만 쓰면 리빌 이후 임의 변경 리스크가 커짐 ...

September 20, 2025

NFT란? NFT 핵심 개념 정리

서문 NFT는 몇 년 새 대중의 관심을 받았지만 개념과 절차가 분산돼 있어 입문자가 막히기 쉬움 이 글은 실무자 관점에서 NFT의 핵심 개념을 단계적으로 정리하고 구매·발행·보관 시 유의사항과 운영 관행을 담는 것을 목표로 함 개념과 배경 NFT는 Non‑Fungible Token의 약자이며 대체 불가능한 토큰을 의미함 동일 단위끼리 교환 가능한 자산은 펀저블 토큰이라 부르고 NFT는 각 토큰이 고유 식별자와 속성을 가져 상호 교환 시 동일 가치를 보장하지 않음 블록체인에 기록된 소유권은 변경이 어렵고 거래 이력이 투명하게 남는다는 장점이 있음 온체인 소유권이 저작권·초상권 등 법적 권리와 자동 동치가 아님에 유의해야 함 ...

September 20, 20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