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estJS Swagger 가이드 — ApiProperty와 PickType/OmitType/PartialType 사용법

개요 @nestjs/swagger는 NestJS와 Swagger(OpenAPI) 스펙을 연결해 API 문서를 자동 생성하는 모듈임 DTO(Data Transfer Object) 클래스에 메타데이터를 부여해 타입과 예시, 설명 등을 Swagger UI에 노출하는 흐름으로 작동함 핵심 도구는 @ApiProperty와 DTO 유틸리티 타입들(PickType, OmitType, PartialType)임 ApiProperty 개념과 사용 @ApiProperty는 DTO 속성 단위로 문서화 메타데이터를 부여하는 데코레이터임 타입, 설명, 예시, 필수 여부 등을 정의해 Swagger UI에 명확한 스키마 제공 코드와 문서가 한 소스에서 유지되어 일관성 확보에 유리함 간단 사용 예시 class CreateUserDto { @ApiProperty({ description: "사용자 이름", example: "John Doe" }) name: string; } 이 속성 정의만으로 Swagger 스키마에 name 필드의 설명과 예시가 노출됨 ...

October 30, 2025

Prisma cursor 기반 페이지네이션 동작 원리와 skip: 1의 의미

개요 Prisma에서 cursor는 특정 레코드 지점부터 결과를 읽기 시작하는 기준점으로 동작함 skip: 1은 해당 cursor 레코드를 결과에서 제외하기 위한 옵션으로, 페이지 간 중복을 제거하는 데 사용함 핵심 동작 cursor는 그 지점부터 시작 await prisma.user.findMany({ cursor: { id: 100 }, take: 5, orderBy: { id: "asc" }, }); // 결과: 100부터 시작해 5개 반환 skip: 1은 cursor에 해당하는 레코드를 건너뜀 await prisma.user.findMany({ cursor: { id: 100 }, skip: 1, take: 5, orderBy: { id: "asc" }, }); // 결과: 101부터 5개 반환 예시로 보는 차이 데이터가 아래와 같다고 가정 ...

October 29, 2025

Prisma findMany 가이드: where, select/include, 정렬·페이징, in/비교 연산자

개요 Prisma의 findMany는 다중 레코드 조회용 메서드 기본값은 대상 모델의 모든 레코드 반환 where 필터, select/include, 정렬, 페이징, 중복 제거 등 옵션 지원 옵션 조합으로 조건 기반 조회를 간결하게 구성 가능 기본 사용법 가장 단순한 호출 형태 const users = await prisma.user.findMany(); 주요 옵션 옵션은 필요한 것만 선택적으로 사용 where: 조건 필터링 select: 필드 서브셋 선택 include: 관계 데이터 로드 orderBy: 정렬 기준 지정 skip, take: 오프셋 기반 페이징 distinct: 특정 필드 기준 중복 제거 where로 조건 필터링 단일 조건부터 복합 조건까지 표현 가능 ...

October 28, 2025

JavaScript 함수는 왜 일급 객체인가 — 의미와 활용

개요 JavaScript에서 함수는 일급 객체로 취급됨 이는 함수가 값처럼 변수에 담기고, 인수로 전달되고, 반환값으로 나오며, 객체의 프로퍼티로 저장될 수 있음을 의미함 이 특성 덕분에 고차 함수, 콜백, 클로저, 함수 합성 같은 패턴이 자연스럽게 구현됨 핵심 개념 변수에 할당 가능 다른 함수의 인수로 전달 가능 다른 함수의 반환값으로 사용 가능 객체의 프로퍼티로 저장 가능 간단 예시 변수에 할당 const greet = (name) => `Hello, ${name}`; 인수로 전달 const run = (fn, v) => fn(v); run(greet, "Bob"); 반환값으로 사용 및 클로저 ...

October 27, 2025

InnoDB에서 PK 없는 테이블의 동작과 트레이드오프

개념과 배경 InnoDB는 데이터를 클러스터형 인덱스 기준으로 저장하는 스토리지 엔진임 대부분의 테이블에서 이 클러스터형 인덱스는 프라이머리 키가 담당함 사용자가 명시적으로 PK를 정의하지 않은 경우에도 InnoDB는 테이블에 클러스터 키를 반드시 갖도록 함 이때 결정 규칙이 존재함 먼저 NOT NULL 제약을 가진 유니크 인덱스가 있으면 그것을 클러스터형 인덱스로 사용 그런 인덱스가 없으면 내부 6바이트 row_id를 생성해 숨김 PK로 사용 세컨더리 인덱스는 항상 클러스터 키를 포함하여 룩업을 수행함 따라서 명시적 PK가 없더라도 내부적으로는 클러스터 키가 존재하며 저장과 탐색 경로의 기준으로 동작함 ...

October 26, 2025

Node.js 환경에서 디버깅하기

개요 Node.js에서 디버깅은 문제를 재현 가능한 최소 단위로 축소하고, 실행 흐름과 상태를 관찰해 원인을 단정하는 과정임. 이 글은 디버깅 기본 원리와 함께 Node.js 환경에서 자주 쓰는 세 가지 방법인 Chrome DevTools, node-inspect CLI, VS Code 디버거 사용법을 정리함 문제를 명확히 하기 작성한 코드의 기대 동작 정의 실제 관측된 동작과의 차이 정리 실패 조건과 재현 절차 고정 문제 정의가 모호하면 디버깅 범위가 불필요하게 커짐. 입력, 환경 변수, 의존성 버전, 네트워크 상태 등 외부 요인도 고정하는 편이 좋음 ...

October 23, 2025

TypeScript enum, const enum, as const 차이와 선택 기준

개요 TypeScript에서 enum, const enum, as const는 값 집합을 선언하고 타입으로 활용하기 위한 서로 다른 도구임 각 특성의 차이와 트레이드오프를 이해하면 가독성과 안정성을 챙기면서 번들 크기와 도구 호환성 문제도 피할 수 있음 enum 개념과 동작 열거형 타입을 선언하는 문법 숫자 기반과 문자열 기반 모두 지원 컴파일 결과로 양방향 매핑을 담은 JS 객체 생성 키로 값 조회, 값으로 키 역조회 가능 예시 enum BooleanType { False = 0, True = 1, } 컴파일 결과는 즉시실행함수 형태로 양방향 맵 객체 생성됨 ...

October 21, 2025

SQL LIMIT와 OFFSET 사용법 정리: 행 개수 제한과 페이징

기본 문법 LIMIT는 SELECT 결과에서 반환할 행 수를 제한하는 구문 WHERE와 ORDER BY 뒤, 즉 SELECT 문 끝에 위치 두 가지 형태 사용 SELECT 컬럼명 FROM 테이블명 LIMIT 개수 SELECT 컬럼명 FROM 테이블명 LIMIT 개수 OFFSET 시작_인덱스 일부 dialect에서는 아래 축약형도 존재 -- MySQL, SQLite SELECT 컬럼명 FROM 테이블명 LIMIT 시작_인덱스, 개수 1. LIMIT 개수 LIMIT 뒤 숫자는 인덱스가 아닌 개수 SELECT * FROM Book LIMIT 1 현재 정렬 기준에서 맨 위 행 1개만 반환 ORDER BY가 없으면 반환되는 행은 비결정적일 수 있음 ...

October 20, 2025

Node.js v8-inspector 디버깅 가이드 — --inspect와 node-inspect 사용법

개요 Node.js 디버깅 환경은 V8 인스펙터 도입 이후 일관된 방식으로 수렴했음 Node.js v6부터 V8 네이티브 인스펙터가 들어왔고 v8.0.0에서 v8-inspector를 본격 지원하면서 기존 –debug는 폐기, –inspect로 통일됨 CLI 디버거 node-inspect가 코어에 통합되어 브라우저 개발자도구와 커맨드라인 중 선택 가능함 이 글은 Node.js 8 이상에서 동작하는 v8-inspector 기반 디버깅 플로우를 요약함 핵심 개념 v8-inspector 프로토콜 V8이 노출하는 디버깅 프로토콜 Node 프로세스가 WebSocket 엔드포인트를 열고 디버거가 여기에 연결하는 구조 –inspect vs –inspect-brk –inspect는 바로 실행하면서 디버거 접속 대기 –inspect-brk는 첫 줄에서 일시정지 후 시작, 초기화 로직부터 추적할 때 유용 포트 기본 포트 9229 사용 –inspect=PORT, –inspect-brk=PORT 형태로 변경 가능 프론트엔드 Chromium 기반 개발자도구로 연결 가능 chrome://inspect 에서 Node 대상 탐색 및 연결 node-inspect Node 내장 CLI 디버거 동일한 인스펙터 포트로 접속하여 터미널에서 스텝 실행과 REPL 수행 크롬 개발자도구로 디버깅 Express 같은 서버 앱을 예시로 실행 파일이 bin/www라고 가정 ...

October 19, 2025

쿠버네티스 컨트롤 플레인 핵심 개념과 EKS 비교

컨트롤 플레인은 쿠버네티스 클러스터의 두뇌이자 의사결정 계층으로, 워커 노드가 실제 워크로드를 돌리는 동안 전체 상태를 정의하고 조율하는 역할을 맡음 조직 비유로 보면 컨트롤 플레인은 본사와 경영진, 워커 노드는 지점과 현장 직원에 해당함 개념과 정의 컨트롤 플레인은 Desired State를 선언적으로 저장하고, Observed State와 비교해 일치하도록 끊임없이 조정하는 계층 사용자는 API를 통해 상태를 선언하고, 컨트롤 플레인은 스케줄링과 컨트롤 루프로 이를 만족하도록 시스템을 수렴시킴 핵심 구성요소 API 서버 kube-apiserver — 모든 요청의 진입점, 인증·인가·어드미션 수행 후 상태 변경을 etcd에 반영 ...

October 18, 20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