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프체인 서명 검증(Off-chain Signature Verification)이란?

개요 블록체인 기술에서 모든 것을 온체인(On-chain)으로 처리하는 것은 비효율적이거나 불가능한 경우가 많음 이때 오프체인 서명 검증(Off-chain Signature Verification)은 오프체인(서버)의 유연성과 온체인(컨트랙트)의 신뢰성을 결합하는 강력한 해결책이 됨 쉽게 비유하자면, 클럽 매니저(서버)가 VIP 손님(사용자)에게만 특별한 싸인이 담긴 입장권(서명)을 발급하고, 입구의 가드(스마트 컨트랙트)는 그 싸인만 확인하고 들여보내는 것과 같음 가드는 매번 매니저에게 연락할 필요 없이, 위조되지 않은 싸인인지 확인만 하면 됨 이 글에서는 오프체인 서명 검증이 무엇인지, 어떤 용어들이 사용되는지, 그리고 가장 중요하게는 어떤 원리로 동작하는지 상세히 알아봄 ...

September 21, 2025

안전한 가스비 대납을 위한 오프체인 서명 검증 페이마스터 (in ZkSync Era)

개요 블록체인 서비스에서 사용자가 겪는 가장 큰 장벽 중 하나는 단연 가스비(Gas Fee)임 아무리 좋은 서비스를 만들어도, 사용자가 지갑에 가스비로 쓸 코인(ETH 등)을 보유하고 있어야 한다는 점은 대중화를 가로막는 결정적인 요인임 이 문제를 해결해 사용자가 가스비 걱정 없이 서비스 핵심 가치에만 집중하게 만드는 것, 즉 가스리스 트랜잭션(Gasless Transaction)을 구현하는 것이 이번 개발의 최종 목표였음 zkSync Era는 이를 위해 페이마스터(Paymaster)라는 강력한 시스템을 제공함. 페이마스터는 서비스 제공자 같은 제3자가 사용자를 대신해 트랜잭션 수수료를 지불할 수 있게 해주는 스마트 컨트랙트임 ...

September 21, 2025

머클트리(Merkle Tree)란? 머클트리의 개념과 블록체인에서의 역할

개요 머클트리는 블록체인에서 거래 집합을 안전하고 효율적으로 요약·검증하기 위해 쓰이는 핵심 자료구조임 블록 헤더에 머클루트가 포함되는 이유는 블록 안의 모든 거래를 고정 크기 해시 하나로 대표해 무결성 확인과 경량 검증을 가능하게 하기 때문임 이 글은 머클트리의 구조와 동작 원리, 블록체인에서의 실무적 의미와 구현 주의사항까지 초보자도 이해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함 핵심 개념과 구조 머클트리는 보통 이진 트리 형태로 구현함 거래들을 리프(leaf) 로 두고 인접 두 리프의 해시를 이어 붙여 부모 해시를 만들며 이 과정을 반복해 루트 해시를 얻음 해시 함수는 체인별로 다르며 비트코인은 더블 SHA‑256, 이더리움은 트라이 구조에서 Keccak‑256 을 사용함 최상단 해시를 머클루트(Merkle root) 라 부르며 크기는 해시 함수에 따라 고정됨 리프 수가 홀수일 때는 마지막 리프를 복제해 짝을 맞추는 방식이 일반적이며 비트코인은 이 규칙을 사용함 트리 깊이는 리프 수 N에 대해 ⌈log₂ N⌉ 에 비례하므로 대량의 거래를 효율적으로 요약할 수 있음 동작 원리와 장점 인접 노드 해시 H_left || H_right 를 순서대로 연결해 해시를 계산하고 이를 위로 올려가며 루트 해시를 얻음 무결성 검증 단일 거래가 바뀌면 해당 리프에서 루트까지의 모든 경로 해시가 바뀌어 변조를 즉시 탐지할 수 있음 효율적 포함 증명 특정 거래가 블록에 포함되었음을 증명하려면 그 거래와 경로상의 형제 해시들만 있으면 됨 필요한 해시 개수는 O(log N) 으로 작아 대역폭과 검증 비용이 작음 확장성 보조 리프가 1,000,000개여도 증명에 필요한 형제 해시는 약 20개 수준으로 32바이트 해시 기준 약 640바이트에 불과함 블록 헤더와 경량 노드(SPV) 비트코인 블록 헤더는 이전 블록 해시, 머클루트, 난스 등 합의 관련 메타데이터를 포함함 경량 노드(SPV)는 블록 전체가 아니라 헤더 체인만 받아 신뢰성을 확보하고, 개별 거래에 대해서는 풀노드로부터 머클 증명 을 받아 포함 여부를 검증함 이 방식은 모바일·임베디드 환경에서도 실사용이 가능하게 하는 기반이 됨 이더리움은 전통적인 이진 머클트리 대신 머클‑패트리샤 트라이(MPT) 를 사용해 거래·영수증·상태 루트를 헤더에 담아 유사한 목적을 달성함 구현 세부와 체인별 차이 비트코인 ...

September 20, 2025

블록체인 인덱서 가이드

블록체인 인덱서 가이드 인덱서는 원장 데이터를 제품 요구에 맞게 재구성해 저지연으로 제공하는 데이터 레이어임 디앱 체감 속도와 신뢰도를 좌우하는 핵심 인프라임 왜 인덱서가 필요한가 블록체인 원장은 블록 단위 직렬 구조라 임의 접근과 조건 검색 비용 큼 디앱은 지갑 이력, 포지션, NFT 보유 등 사용자 맥락 데이터를 수십~수백 ms 내에 필요로 함 전체 원장을 매번 스캔하는 대신 목적형 보조 인덱스를 사전 구축해 API로 제공하는 전략이 효율적임 핵심 개념 인덱싱 대상 데이터 유형 블록 헤더와 트랜잭션 메타데이터 ...

October 13, 2025

블록체인 합의 알고리즘 가이드 — PoW, PoS와 영지식증명 활용

개요 퍼블릭 블록체인은 중앙 관리자 없이 다수 참여자가 같은 상태를 공유해야 함 이때 모두가 믿을 수 있는 하나의 기록을 선택하는 규칙이 필요하며 이를 합의 알고리즘이라 부름 합의는 성능과 보안, 탈중앙화 사이의 균형 문제이기도 함 PoW와 PoS는 대표적 합의 방식이며 최근에는 영지식증명 같은 암호 기법이 개인정보 보호와 검증 간소화에 결합되는 추세임 실무 관점에서 각 방식의 원리와 트레이드오프, 영지식증명과의 접점을 정리함 합의가 필요한 이유와 기준 안전성 안전하게 하나의 정본을 고수하고 이중 지불 등 불변성 파괴가 발생하지 않음 활성 상태 네트워크 지연이나 일부 장애가 있어도 새 블록 생성이 지속됨 최종성 일단 확정된 거래가 되돌려지지 않음 확률적 또는 결정적 최종성으로 구분됨 시빌 내성 가짜 참여자 대량 생성 공격에 저항함 경제적 비용 또는 신원 검증 기반 메커니즘 필요 성능 처리량과 지연 시간 목표를 명확히 해야 함 블록 간격, 블록 크기, 검증 비용이 관건 탈중앙화 검증 참여 문턱을 낮춰 누구나 검증 가능하도록 설계 권장 풀 집중이나 소수 지배를 억제할 유인 설계 필요 PoW 작업증명 핵심 정의 특정 난이도의 해시 퍼즐을 풀어 블록 제안권을 얻는 방식 채굴자가 해시 연산을 반복해 목표값 미만의 해시를 찾는 구조 구성 요소 블록 헤더 난이도 목표값 논스 해시 함수 작업 증명 검증은 O(1)에 가까움 제안은 대량 계산 필요 난이도 조정 네트워크 전체 해시 파워 변화를 따라 목표 블록 간격을 유지하도록 주기적 재조정 수행 보안 모델 정직한 해시 파워가 과반을 차지하면 긴 사슬이 정본이 됨 51% 공격은 다수 해시력으로 과거 일부 구간을 재작성하는 위협을 의미 장점 ...

October 11, 2025

블록체인 채굴 개념과 동작 원리 PoW 보상 구조 이더리움 전환 사례

개요 채굴은 트랜잭션을 묶어 블록을 만들고 블록체인에 추가하는 행위이자, 네트워크를 공격으로부터 방어하는 핵심 보안 메커니즘임 역사적으로 비트코인과 이더리움은 작업증명 PoW 기반 채굴에 의존해 합의를 유지했음 이더리움은 2022년 9월 The Merge로 지분증명 PoS로 전환하여 블록 생성에 소모되는 에너지를 크게 줄였고, 지금은 채굴 대신 검증자 스테이킹이 사용됨 아래 내용은 채굴이 사용되던 시기의 개념과 동작 원리를 정리한 것으로, PoW 계열 네트워크나 역사적 맥락을 이해하는 데 목적이 있음 핵심 개념과 정의 블록체인 원장 네트워크 참여자가 공유하는 불변 기록 장부 트랜잭션 계정 상태를 변화시키는 요청 또는 메시지 채굴자 PoW 네트워크에서 블록을 제안하고 검증하는 주체 작업증명 PoW 특정 해시 조건을 만족하는 값을 찾는 계산을 통해 블록의 정당성을 증명하는 합의 규칙 난이도 difficulty 해시 조건의 엄격함을 조절하는 파라미터, 블록 생성 간격을 목표치로 수렴시키는 역할 넌스 nonce 해시 목표를 만족하기 위해 반복적으로 변경하는 값 메모리풀 mempool 블록에 포함되기 전 대기 중인 트랜잭션 집합 블록 보상 block reward 채굴자가 새 블록을 유효하게 제안했을 때 받는 기본 보상과 수수료 총합 왜 채굴이 필요한가 탈중앙 시스템에서는 트랜잭션의 순서에 모두가 합의해야 이중지불을 막을 수 있음 예시 Alice가 Bob에게 1 단위를 보내고 Bob이 그 1 단위를 Charlie에게 보낼 때, 순서가 뒤섞이면 Bob이 실제 보유하지 않은 금액을 전송하려 시도하는 문제가 발생함 채굴자는 유효한 트랜잭션을 모아 순서 있게 블록에 넣고, 작업증명으로 해당 블록이 정당함을 증명함 PoW의 설계는 두 가지 속성을 가짐 생성은 어렵지만 검증은 쉬움 ...

October 6, 2025

Abstract L2 체인 개요와 설계 핵심: ZK Rollup, ZK Stack, 네이티브 계정 추상화, AGW

개요 Abstract는 이더리움 보안을 상속하는 ZK Rollup 기반 L2 체인으로, 고비용·저처리량 한계를 완화하는 확장 층 제공 목표 ZK Stack으로 구축되어 체인 개발과 운영 구성 요소를 모듈화하고, 데이터 가용성은 EIP-4844 블롭을 활용해 비용을 절감하는 방향 추구 핵심 차별점은 네이티브 계정 추상화 기반의 트랜잭션 수명주기와 글로벌 지갑 레이어를 통한 사용자 온보딩 간소화에 있음 배경과 목적 이더리움 메인넷의 처리량은 대략 초당 수십 건 수준이며, 수수료 변동성도 큼 저가치 대량 트랜잭션을 직접 L1에서 처리하는 것은 비현실적 L2의 목표는 탈중앙성과 보안을 유지하면서 처리량과 비용 효율을 동시에 개선하는 것 ZK Rollup은 유효성 증명을 통해 상태 전이를 압축·검증하여 온체인 데이터 요구량과 확정 시간을 줄이는 확장 경로 제공 ...

October 3, 2025

블록체인 Reorg(체인 재구성) 이해

개념과 배경 Reorg는 동시에 생성된 블록로 체인이 잠시 분기된 뒤 합의 규칙에 따라 더 우세한 분기로 갈아타는 상황을 뜻함 짧아진 분기에 있던 블록은 활성 체인에서 제외되어 존재하지 않았던 것으로 취급됨 노드는 자신의 로컬 관점에서 더 우세한 체인을 발견하면 그 체인으로 교체하는데 이 현상은 네트워크 전체가 동시에 일어나는 게 아니라 각 노드에서 국소적으로 발생함 핵심 용어 정리 스테일 블록 best chain에 편입되지 못한 정상 블록을 말함 오펀 블록 전통적으로 부모를 모르는 블록을 의미하지만 커뮤니티에선 스테일 블록과 혼용되는 경우가 많음 ...

September 28, 2025

커스토디얼 vs 논커스토디얼 월렛 비교

개요 프라이빗키 관리 방식에 따라 암호화폐 월렛은 커스토디얼(custodial) 과 논커스토디얼(noncustodial) 로 구분됨 각 방식의 차이와 선택 기준, 보안·운영 리스크와 대응 방안을 초보자도 이해할 수 있게 정리하면서 실무자가 바로 적용할 수 있는 체크리스트까지 제시함 핵심 개념 커스토디얼 월렛 제3자 서비스가 사용자의 프라이빗키를 보관하고 서명을 대행하는 구조 로그인·출금 등은 서비스 인증 절차를 거쳐 처리됨 논커스토디얼 월렛 사용자가 프라이빗키를 직접 보유·관리하는 구조 브라우저 확장 지갑·모바일 앱 지갑·하드웨어 지갑이 대표적 사례임 핵심 차이 한 줄 정리 키의 소유·통제 주체가 제3자인가 사용자 본인인가의 차이 ...

September 23, 2025

블록체인이란? 블록체인 개념 총정리

개요 블록체인은 중앙 기관 없이 참여자들이 거래를 기록·검증·공유하는 분산 원장 기술임 이 글은 블록체인을 초보자 친화적으로 설명하고, 실무 체크리스트까지 정리함 큰 그림: 시스템 구성 노드(Node): 블록체인 소프트웨어 실행 주체 풀노드: 모든 블록·트랜잭션 검증·저장 라이트 클라이언트: 헤더·머클 증명 기반 최소 검증 (참고) 아카이브 노드: 오래된 상태 포함 전체 상태 유지(필수 아님) 블록(Block): 트랜잭션 묶음 + 메타데이터(블록헤더). 블록들이 선형 체인으로 연결됨 합의(Consensus): 어떤 블록이 정식 이력인지 네트워크가 공동으로 결정하는 규칙 PoW: 작업증명(연산 경쟁) PoS: 지분증명(검증자·보증금 기반) 해시(Hash)와 위·변조 방지 해시 함수(SHA-256, Keccak-256 등): 입력을 고정 길이로 압축하는 일방향 함수임 ...

September 22, 2025